타나토스 총서 10
죽음을 생각한다는 것
- 고대 희랍의 죽음 이해
■ 이 책은
국내 유일의 죽음 문제 연구소인 한림대 생사학연구소가 그동안의 연구와 강연 등을 통해 축적한 죽음 연구 성과를 시리즈로 기획한 <타나토스(죽음) 총서> 제10권이다. 이 책은 고대 희랍의 철학과 신학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 엮은이 :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 총서명 : 타나토스 총서 10
■ 저 자 : 이강서
■ 분 야 : 철학
■ 발행일 : 2015년 5월 29일
■ 페이지 : 184쪽
■ 판 형 : 152mm ✕ 225mm
■ 가 격 : 15,000원
■ ISBN : 979-11-86502-11-2
■ ISBN : 978-89-97472-87-1
■ 문 의 : 02-735-7173
■ 출판사 서평
“버림을 받았을 땐 죽음을 생각했다”
수시로 참을 수 없는 불안과 공포가 덮쳐 오는 것이다. 숨이 턱 막히고 금방이라도 정신을 잃을 것 같다. 구급차를 불러서 응급실에 가야 하는 것 아닐까? 아니 구급차가 도착하기까지 버틸 수 있을까? 아, 이렇게 끝나는 것인가? (…)
공황장애(Panic disorder)였다. 희랍어로 토 판(to pan)은 ‘전체’를 뜻한다. 이 말에서 나온 판(Pan) 신은 어디에나 있는 신, 도처에 있는 신이다. 마치 우리 전래 동화의 날도깨비처럼 갑자기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불쑥불쑥 나타나 사람을 놀래킨다. 이 신의 이름으로부터 패닉(Panic)이라는 영어 단어가 유래했다. 누구보다도 죽음에 대해 많이 생각한다는 철학 전공자가 죽음의 공포에 사로잡혀 있다는 사실이 몹시 창피했다. 그렇지만 발작하듯 덮쳐 오는 죽음의 공포 앞에 속수무책이었다. - 본문 15쪽
누구든 언젠가 죽는다
‘패닉’의 대상은 ‘죽음’이다. 이 책의 저자 이강서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죽음, 그리고 형의 죽음에서 죽음의 공포를 마주하게 된다. 인간은 의도적으로 죽음을 잊고 살고자 하지만, 그렇게 잊고자 한 대가로 죽음을 큰 공포로 느끼게 된다. 죽음의 공포로부터 벗어날 수는 없을까? 저자는 이에 대해 “날마다 죽음을 떠올리고, 날마다 죽음을 생각하는 생각하는 일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작게 만든다.”라고 답한다. 이를 위해, 죽음에 관한 수많은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 고대 희랍(Greece)을 조명한다.
죽음은 깊은 잠이다
희랍 신화에서 죽음의 신 타나토스(Thanatos)와 잠의 신 히프노스(Hypnos, 로마 신화 Somnus)는 어둠의 신 에레보스(Erebos)와 밤의 여신 닉스(Nyx)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형제이다. 칠흑 같은 밤의 어두움에서 유래한 타나토스와 히프노스를 쌍둥이 형제로 나타낸다는 것은 “죽음이란 잠일 뿐”이라는 생각을 드러낸다.- 본문 89쪽
인간이란, “죽음을 문제 삼는 존재” “죽음을 성찰하는 존재”
신화에서 스핑크스(Sphinx)가 지나는 이들에게 던진 물음이자 수수께끼는 “아침에는 네 발로, 점심에는 두 발로, 저녁에는 세 발로 가는 것이 무엇이냐?”는 것이었고, 수많은 사람들이 알아맞히지 못해서 잡아먹힌다. ...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묻는 물음, 곧 인간 정체성을 묻는 물음은 인간에게는 생사를 건 물음, 생사가 걸린 절체절명의 물음, 모든 물음들 가운데 최고의 물음이다.- 본문 79쪽
고대 희랍 사람들에게는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인간은 어떤 점에서 신과 다른가’라는 물음으로 이어진다. 그들에게 신과 인간은 같은 모습을 하고 있고 성질도 같다고 여겨졌다. 신과 인간 사이에 다른 점은 단 한 가지, 신은 죽음을 겪지 않는 반면에 인간은 죽음을 면치 못한다는 점이다.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죽음이란 무엇인가’의 물음과 통한다. 어둠 속에서 불쑥 갑자기 다가오는 알 수 없는 것이 다가온다면? 어느 누구든 소스라치게 놀랄 수밖에 없다. 죽음은 어느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죽음을 생각한다는 것, 희랍 비극과 신화, 철학에 담긴 죽음 이야기들을 듣는 것은, 죽음을 공포로 받아들이기보다 의연하게 받아들이게 해줄 것이다.
본문에 소개된 철학 학파 중 에피쿠로스 학파의 다음 말을 인용해본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동안에는 죽음은 ‘아직’ 없다. 죽음이 우리에게 왔을 때 우리는 ‘이미’ 이 세상에 없다. 그러므로 우리가 가장 두려워하는 죽음이란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다.”
■ 본문 속으로
고대 희랍 사람들이 죽음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미토스와 로고스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우선 미토스와 관련해서는 그리스 비극과 신화에서 죽음이 어떻게 이해되고 나타나는지를 고찰한다. 다음으로 로고스와 관련해서는 주로 플라톤의 여러 대화편들이 분석 대상이 된다. 플라톤은 『파이돈』에서 철학을 ‘죽음의 연습’으로 규정한다. 라인하르트(K. Reinhardt)가 지적하듯 죽음이라는 주제가 어떤 방식으로든 개진되지 않는 대화편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플라톤에게 철학은 불멸에 이르는 길이다. (본문 78쪽)
고대 희랍 사람들은 육신의 병이 나으면 치유의 신인 아스클레피오스에게 감사의 제물로 닭 한 마리를 바쳤다. 이제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다. 소크라테스에게 죽음은 혼이 육체로부터 해방되는 일, 곧 치유되는 일이다. 그러니 자기 몫으로도 치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닭 한 마리 바쳐 달라고 한 것이다. 외상으로 먹은 닭 값을 마지막 순간에도 기억해 내고는 준법정신을 발휘해서 갚아 달라고 했다는 것은 참으로 기막힌 해석이다. (본문 128쪽)
고대 희랍인들이 주고받는 인사말에 ‘에우 프라테인’(eu prattein)이 있다. 그 뜻은 ‘잘 지낸다’, ‘잘 산다’는 것이다. ‘에우’는 형용사 아가토스(agathos)의 부사형, 영어로는 형용사 good의 부사형인 well에 해당하고, 우리말로는 ‘잘’에 해당한다. ‘프라테인’은 ‘행하다’ 혹은 ‘살다’이다. 그러니까 ‘에우 프라테인’은 ‘잘 지낸다’(to do well)는 것, ‘잘 산다’는 것이다. ‘에우 프라테인’과 비슷한 ‘에우 젠’(eu zen, to live well)도 있다. ‘에우 프라테인’이 ‘잘 산다’는 의미의 말로서 인사말로 쓰인다는 사실은 우리말 ‘안녕’(安寧)과 꼭 같다. 고대 희랍 사람들의 편지가 ‘에우 프라테인’으로 시작해서 ‘에우 프라테인’으로 끝나는 것처럼 우리의 편지도 흔히 ‘안녕하세요’로 시작해서 ‘안녕히 계세요’로 끝난다. 이 ‘잘 산다’는 것은 오늘날 흔히 쓰는 ‘웰빙’(well-being)과 연관된다.(본문 171쪽)
■ 차례
1. 아르카디아에도 죽음은 있다
지극히 실존적인 책 머리말: “버림을 받았을 땐 죽음을 생각했다” “아르카디아에도 나는 있다”
죽음의 무도
2. 마지막 말 한마디
백조의 노래 평화의 정원
묘비명 “나는 자유다”
플라톤이 남긴 에피그램 죽음을 일깨우는 촌철살인
3. 두 가지 개념 쌍 :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미토스와 로고스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미토스와 로고스
인간 정체성과 죽음
4. 희랍 비극과 신화에서의 죽음
희랍 비극에서의 운명과 죽음의 힘 희랍 신화에서 죽음과 잠
타나토스 속여 넘기기 저승 세계의 묘사
저승 다녀온 이야기 탄탈로스의 고통과 죽음의 공포
5. 희랍 철학에서의 죽음
재판정에 세워진 소크라테스 구차하게 변론해서 사느니 당당하게 변론하고 죽는다
죽음을 두려워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으면서 현명하다고 생각하는 것
‘다이모니온의 소리’는 죽음을 피하라고 말하지 않았다
죽음은 좋은 것일 가망이 크다 다비드의 그림 <소크라테스의 죽음>
“플라톤은 아파서 없었다” 자살은 온당한 일이 아니다
노여움이나 두려움 없이 받아들이는 죽음 『파이돈』이 그려 내는 하데스 여행
소크라테스도 꿈을 꾼다 소크라테스의 유언
소크라테스의 최후 죽음의 연습으로서의 철학
사랑은 죽음도 넘어선다 죽음의 극복: 불후에 대한 의지
에르의 열이틀 저승 여행 아낙시만드로스의 죽음 혹은 소멸의 명제
엠페도클레스의 죽음 에피쿠로스: 고통과 공포로부터의 해방
6. 꽃답게 죽다
오스모 이야기
■ 저자 소개_ 이강서
성균관대학교 철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했다. 1993년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플라톤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6년 이래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8년 9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독일 튀빙엔대학교 객원교수(Gastprofessor)를 지냈다. 주요 관심분야는 서양고대철학과 형이상학이다. 현재 독일 튀빙엔학파를 둘러싼 논쟁, 서양의 신비주의 전통에 대한 저술을 준비하고 있다.
■ 한림대 생사학연구소
2004년 설립 이후 지금까지 전국 유일의 죽음 문제 연구소로 우리 사회 삶과 죽음의 질 향상 및 자살예방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2012년 9월부터 ‘한국적 생사학 정립과 자살예방 지역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연구과제로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을 수행 중이다. 타나토스 총서는 한림대 생사학연구소의 연구 성과뿐만 아니라 국내외 여러 학문 분야에서 산출되는 죽음 및 자살예방 관련 연구물을 출판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현재 철학, 종교학, 문학, 민속학, 역사학, 사회학, 심리학 등에서 다양한 연구자가 참여하여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모들 책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피노자의 사상과 그 현대적 부활 (0) | 2015.08.27 |
---|---|
과학으로 신학하기 (0) | 2015.07.20 |
동학의 비결-그 이치가 한마음에 있다 (0) | 2015.07.14 |
IS를 말한다 (0) | 2015.07.01 |
오만 술탄국 기본법 (0) | 201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