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총서009
경기도 수원 동학농민혁명
이 책은 새로운 세상을 꿈꾸며 궐기한 동학농민혁명이 조선 전역에서 전개된 운동이었음을 실증적으로 구명하기 위한 지역별 동학농민혁명 연구 총서의 제9권인 경기도 수원편이다.
■ 기 획 : 동학학회
■ 저 자 : 이이화 김준혁 임형진 신영우 왕현종 이동근 채길순 조극훈
■ 분 야 : 역사
■ 발행일 : 2017년 12월 31일
■ 페이지 : 328쪽
■ 가 격 : 15,000원
■ ISBN : 979-11-88765-04-1 94900 979-89-97472-72-7 94900
■ 판 형 : 152 ✕ 225mm
■ 발행처 :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02-735-7173)
■ 출판사 서평
동학의 글로컬리제이션(Glocalization) : 수원의 동학농민혁명
서울, 경기 지역 동학 전파의 교두보 역할을 한 수원은 근대사회로 전환하는 시기에 변혁운동의 중심지였다. 1880년경 동학이 수원으로 본격적으로 전래되면서, 수원지역에서는 국채보상운동, 3·1운동, 애국계몽운동, 의병전쟁 등이 일어났다. 이는 근대사회 성립기에 수원이 차지하는 역사적 위상을 말해주고 있다. 한국근대사에서 수원 권역은 평등사회를 실현하고 동학이 외세 침략에 적극 대응해 나갔던 선도지역이라 할 수 있다. 한국 근대사에서 평등사회 실현과 반침략 민족운동을 추동한 동학의 근대사상이 발현된 선도지역이 수원이다.
본격적으로 수원지역에 동학이 전파된 것은 1880년경이었다. 조선 말기의 수원지역은 탐관오리들의 전횡에 항거하는 민중의 봉기들이 끊이질 않을 정도로 깨인 백성들이 사는 곳이었다. 수원지역에 동학을 전래한 주요인물은 서인주와 안교선이다. 특히 안교선은 호남 출신으로 1883년 최시형이 경주에서『동경대전』을 간행할 때 윤상오와 같이 유사(有司)로 참여하였다. 그는 1884년 2월경 수원을 비롯한 경기지역에 동학을 포교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이 시기에 안승관과 김정현(김내현)이 그에게 입도하였다. 이들은 수원지역 동학 포교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 차례
동학농민혁명과 3·1운동 그리고 수원┃이이화
정조의 인간존중이 투영된 동학의 평등정신┃김준혁
동학에서 천도교로의 개편과 3·1운동┃임형진
1894년 경기도 지역의 변란 상황과 동학농민군 진압 과정┃신영우
‘광무양안’으로 본 수원 지역 농민들의 사회경제 기반┃왕현종
수원 지역 동학·천도교 유적지와 3·1운동 탐방로┃이동근
수원 지역 동학농민혁명 전개 과정과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채길순
동학의 글로컬리제이션과 인문도시로서의 수원┃조극훈
■ 책 속에서
● 3·1운동 당시에 수원의 군세는 어떠했을까? 조선 말기인 1896년에 수원유수부를 수원군으로 강등시켜 경기도에 소속시켰다. 이는 두 번째로 군세가 위축되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총독부에서는 1914년 전국 행정개편을 단행하면서 양주군을 수원군에 통합시키고 광주군 안산군의 일부 지역을 수원군에 편입시켜 확대 개편하였다. 하지만 경기도청과 경기도경찰부는 여전히 경성부에 두었다. 그리하여 수원군은 3·1운동 당시 도시보다 농촌 지역의 범위가 넓었다. 당시에 제암리는 수원군에 들었다. 수원에서는 학생들보다 농민들이 만세시위의 주동이 되었다. 먼저 장안면의 사정을 보면, 4월 3일 조암장터에서 만세시위를 벌이고 나서 장안면장에게 달려가 만세 부르기를 강박하였다. 이에 경찰이 발포해 1명이 사망하자, 시위대가 경찰주재소를 방화해 경찰 1명이 사망하였다. 뒤이어 헌병대가 출동해 주민들의 주택에 방화하는 사태로 이어졌다. <‘동학농민혁명과 3·1운동 그리고 수원‘ 중에서>
● 제암리 학살사건은 철저한 탄압으로 하마터면 묻힐 뻔 했으나, 사건 직후 현장을 방문한 스코필드와 노블 등 외국인 선교사와 커티스 미 영사의 노력으로 사건 진상이 외부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은 국제사회에서 일본 측을 곤혹스럽게 만드는 큰 사건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선교사들 가운데 언더우드, 스코필드 등은 여러 차례 현장을 방문하여 사실 파악과 부상자 치료와 난민 구호에 적극 참여했으며, 영국의 대리영사와 노블을 비롯한 감리교 선교사들이 현장을 답사하고 현장 증언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하여 본국으로 보내 세계 여론과 세계 교회에 그 진상을 알리는 데 노력했다. <‘동학에서 천도교로의 개편과 3·1운동‘ 중에서>
● 수원 지역의 3·1운동은 3월 1일 수원면 화홍문 방화수류정의 만세운동을 시작으로, 4월 중순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났다. 많은 천도교도와 기독교도, 유학자들, 그리고 대부분의 농민, 학생, 상인과 기생까지 수원군의 전 계층이 참여하면서 독립의 의지를 불태웠다. 수원군의 3·1운동은 산발적이고 평화적인 시위도 있었으나, 송산면·우정면·장안면 등의 시위는 사전 계획에 조직적으로 격렬한 투쟁 양상을 보였다. 그 과정에서 면사무소와 주재소를 파괴하고, 갖은 악행을 일삼던 순사들도 처단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천도교인들이 선봉에 서서 이 지역 3·1운동을 이끌어 갔다. <‘수원 지역 동학·천도교 유적지와 3·1운동 탐방로‘중에서>
● 최제우가 정조에 대한 이해가 없을 수 없다. 최제우는 자신이 서자 출신이라는 것에 대한 깊은 고뇌가 있었다. 그리고 자신이 과거시험을 볼 수 없다는 것에 깊이 좌절하기도 하였다. 최제우는 당시의 인재 선발이 양반의 적자(嫡子)들만을 대상으로 시제(詩題)를 걸어놓고 문장만으로 뽑는 과거제도가 불합리하다며 비판하였다. 즉 다양한 인재들이 과거를 통하지 않더라도 능력으로 관직에 나가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하는 것이 올바른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정조 시대에 서얼 혁파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서얼 혁파 이전과 같이 서얼들에 대한 차별이 유지되고 있는 것에 분노를 느꼈고, 다시금 정조에 대한 존경과 그의 사상을 이해하게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적서 차별과 경제적 차별 등을 겪으면서 수운은 당대 현실의 문제를 고민하였다. 여기에 더해 외세 침탈에 대한 조선의 주체적 사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하게 느꼈을 것이다. 그리하여 최제우는 생존조차 보장되지 않는 물질적인 궁핍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민중들과 외세의 도전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사상을 갈구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신이한 체험을 하게 되었고, 그것이 곧 동학으로 탄생한 것이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부친으로부터 받은 정조의 개혁과 평등정신이 동학의 사상에 투영되었을 것이다. <‘정조의 인간존중이 투영된 동학의 평등정신‘중에서>
■ 저자 소개
이이화 역사학자
김준혁 한신대학교 교수
임형진 천도교 종학대학원 원장
신영우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왕현종 연세대학교 교수
이동근 수원박물관 학예연구사
채길순 명지전문대학교 교수
조극훈 경기대학교 교수
■ 동학학회
1998년 창립 이래 동학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한국사상의 정체성 확립과 21세기 인류문명의 대안적 세계관 정립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등재학술지인 동학학보를 연 4회 발간하고 있으며, 경주·정읍·고창·보은·예산·영덕·남원·홍천·구미 등 지자체와 공동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해 오고 있다.
'모들 책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개신교의 타자인식 (0) | 2018.02.07 |
---|---|
모로코 왕국 헌법 (0) | 2018.02.05 |
종교 안에서 종교를 넘어 (0) | 2018.01.16 |
빅 히스토리 (0) | 2017.12.28 |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1) | 2017.12.19 |